본문 바로가기
트레이딩 공부

관세 유예 조치, 증시는?

by 절해님 2025. 4. 11.
반응형

"도대체 이건 호재야, 악재야?" 트레이더의 혼란

 2025년 4월 11일, 세계 금융시장은 또 한 번 요동쳤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깜짝 발표한 90일간의 관세 유예 조치로, 전 세계가 환호하는가 싶더니… 어라? 다음날 바로 시장이 박살이 났습니다. 다우 -1,700p, 나스닥 -6%, S&P500 -5%. 이쯤 되면 "도대체 뭔 일이야?" 싶은 분들 많으실 텐데요. 이번 포스트에선 이 관세 유예 조치가 왜 시장에 혼란을 주었고, 어떤 매매 인사이트를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신문을 읽는 남자

1. 트럼프의 관세 유예, 정말 '긍정적 뉴스'였을까?

 먼저 전체 상황부터 정리해보죠.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에 예고했던 고율 관세 — 예를 들어 25%, 심지어 46%까지 올라가는 — 이걸 90일간 잠정 보류한다고 깜짝 발표했습니다. 그러자 유럽과 아시아 시장, 특히 베트남과 일본 주식시장이 즉각 반응했죠. 단기적으로 급등한 겁니다. 이게 바로 시장의 1차 반응입니다.

 왜냐? "어우, 전쟁은 일단 피했다!"는 안도감이 퍼졌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그동안 하락에 베팅했던 투자자들이 서둘러 포지션을 정리하는 숏커버링이 일어났고요. 단기적으로 엄청난 반등을 만든 거죠.

그런데 문제는 다음날. 관세를 유예하긴 했지만,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에서 145%로 오히려 더 올렸다는 사실이 공개되면서 시장 분위기가 반전됩니다. 자, 여기서 중요한 점 하나!

 

관세 유예는 중국과의 무역전쟁을 잠시 멈춘 게 아니라, 전선을 좁힌 것에 불과하다.

 "관세가 줄었으니 좋아!"가 아니라, "이거... 설마 중국이랑 전면전 들어가는 거 아냐?"라는 공포가 생긴 거예요.

 

2. 반등은 숏커버링, 하락은 본질 회귀

 

 증시의 움직임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 4월 10일: 관세 유예 소식 → 숏커버링 + 외국인 단기 유입
  • 4월 11일: 중국과의 관세 격돌 확인 → 리스크 회피성 매도

 이 흐름은 트레이더에게 아주 중요한 시사점을 줍니다. 특히 스켈퍼나 단기매매자 입장에서는 아래와 같은 구분이 필요합니다.

  • 뉴스 발생 직후: 뉴스 자체보다 시장의 반응을 매매
  • 다음 날 이후: 뉴스의 본질과 시장의 해석을 보고 포지션 조정

즉, 트럼프의 유예 조치는 '당장의 악재 제거'가 아닌, '새로운 불확실성 시작'이었습니다.

🎯 시장은 좋은 뉴스보다 명확한 뉴스를 좋아합니다. 트레이더는 '명확성'에 베팅하는 겁니다.

 

3. 채권 시장이 움직였다는 건 무엇을 의미할까?

 

 이번 이슈에서 가장 예의주시해야 할 건 사실 채권시장입니다. 트럼프의 입장이 바뀐 직접적 원인도 미국 국채시장 매도세 때문이었거든요. 즉,

 

📉 채권 금리 급등 → 경기 불안 + 미국 정부의 자금 조달 압박 → 트럼프의 관세 유예 조치

 이 흐름은 트레이더에게 아주 중요한 신호입니다. 주식보다 먼저 움직이는 채권 시장이 리스크를 경고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그게 현실화되었다는 것이죠. 또한, CPI 수치가 예상보다 낮았음에도 시장이 반응하지 않았다는 건 지금 시장의 관심은 인플레가 아니라 무역과 글로벌 리스크라는 뜻입니다.


지금은 '호재 매도 구간', 매수는 기다려야 한다

정리해보면 이렇습니다.

  • 관세 유예는 단기적 호재였지만, 중국과의 무역 전면전은 중장기 악재
  • 하루짜리 급등은 숏커버링의 결과일 뿐, 추세 반전이 아님
  • 채권 시장과 달러 인덱스, VIX 지수가 여전히 위기 모드에 있다면, 반등은 '속임수'일 가능성이 높음

프랍 트레이더 입장에선 지금은 진입보다 관망이 우선입니다. 특히 지수 레벨에서 갭 상승 후 음봉 마감, 변동성 지수(VIX)의 상승, 채권 금리의 혼조세는 전형적인 *'위험회피 구간'*의 특징이죠.

 

📌 실전 매매 팁:

  • 관세 관련 뉴스는 '즉시 반영, 천천히 해석'하는 경향이 강하니, 1차 반등은 짧게 먹고 나와야 합니다. 이전에 말씀드렸던 속도가 엄청나기때문에 방향이 맞더라도 치여서 큰일 난다는 말 기억하시죠?
  • VIX 지수가 다시 18 이하로 진입하고, 채권 금리가 안정될 때 진짜 매수 타이밍이 올 것입니다.

뉴스라는 단기적 변동성 속, 시야는 길게 — 채권금리주목하자

 이번 관세 유예 발표는 분명 단기적으로는 증시에 강한 자극을 줬습니다. 하루 만에 수십 년 만의 상승률이 나왔고, 다음 날엔 곧장 반락했죠. 이처럼 지금 시장은 뉴스 한 줄에 좌우되는 과속 주행 상태입니다. 한 치 앞도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지만, 이럴 때일수록 흥분을 가라앉히고 '속도 조절'이 필요해 보입니다.

 특히 지금처럼 변동성이 클 때는 주식 차트만 들여다볼 게 아니라, 채권 시장과 금리 흐름을 함께 보는 안목이 중요해요. 트럼프의 갑작스러운 정책 선회 뒤에 어떤 금리 시그널이 나오는지, 미국 국채 수익률이 어디로 움직이는지에 따라 앞으로의 방향성이 조금씩 드러날 겁니다. 요컨대, 단기 뉴스에 일희일비하기보단, 전체 시장의 ‘기저음’을 읽는 차분한 태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시장은 늘 흥분하다가도 결국 냉정해지거든요. 지금이 바로 그 냉정함을 준비할 타이밍입니다.

 

📈 매매는 감정이 아닌, 확률로 하는 것

 

 

시야는 길게 가져가지만 빼놓지 말아야할 증시관련 주요일정 알아볼까요?

2025.04.12 - [트레이딩 공부] - 증시관련 주요 일정

 

증시관련 주요 일정

2025년 4월 증시 일정 총정리미국 CPI부터 한국 옵션만기일까지! 이거 놓치면 뒤처진다! 주식은 정보 싸움이다!그중에서도 ‘언제 어떤 이벤트가 있는지’만 제대로 알아도, 포지션을 잡고 매매

heath303.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