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레이딩 공부

​트럼프는 채권시장에 반응한다

by 절해님 2025. 4. 15.

💥 채권시장에 반응하는 트럼프

 트럼프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세정책이 단순한 물가 상승을 넘어, 경기침체 우려와 함께 미국 국채 시장에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투자자의 시각에서 이러한 변화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미국 국채의 수요와 유동성 전망에 대해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경기침체냐, 스태그플레이션이냐? 주식시장에는 관심이 없고 채권에 신경쓴다는 트럼프, 그것이 어떤 의미인지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스태그플레이션? 아니, 이건 경기침체다

 보통 관세 얘기 나오면 “아, 물가 오른다~ 인플레다~”라고 외치죠. 하지만 진짜 경제를 보면... 물가는 오르는데 소비는 줄고, 임금은 안 오르고, 기업은 투자 안 하고. 손을 쓸 수 있는 방법이 뚜렸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 트럼프식 관세는 생필품 가격을 올리긴 하지만, 임금은 안 오르니 장기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긴 어렵습니다.
  • 오히려 고물가+고금리 조합에 가계는 지갑을 닫고, 기업은 “요즘 분위기 안 좋아”라며 투자도 접습니다.
  • 노동시장도 슬슬 식고 있습니다. 실업률은 서서히 오르고, 가계 신용 연체 우려도 커지고 있죠.

💡 한 마디로, “물가는 오르는데 돈 쓸 사람도, 쓸 기업도 없다” → 스태그플레이션보단 경기침체 쪽입니다.


2️⃣ 미국채는 여전히 인기스타, 이유는?

“요즘 탈달러다~ ” 하며 미 국채 인기도 식는 거 아니냐고요? 천만에요. 미국 국채는 여전히 전 세계 투자자들의 '안전자산'입니다.

왜냐고요?

  • 달러는 여전히 세계의 중심통화입니다. 외환보유고의 59%, 국제결제의 58%가 달러로 이루어지죠.
  • 미국 국채는 유동성 짱, 안전성 최고, 시장 신뢰도 만점입니다. 한마디로 대채할 통화가 없다는 거죠.
  • 전쟁이 나든, 팬데믹이 오든, 트럼프가 관세를 퍼붓든… 사람들은 위험할수록 국채를 사요. 바로 피난처 역할 때문입니다.

🌍 중국·일본이 미국채를 좀 덜 사긴 하지만, 중동, 유럽, 글로벌 펀드들이 그 자리를 채우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MMF, 연기금, 보험사 등 꾸준한 수요층이 존재하죠.


3️⃣ 누가 국채를 사냐고요? 전부 다요.

국채 사는 사람들 명단, 한 번 볼까요?

  • 외국 중앙은행: 환율 방어 + 외환보유고 관리. 달러가 약세일수록 더 삽니다.
  • 연기금·보험사: 금리 변동 신경 안 씁니다. 그냥 안정성 보고 꾸준히 삽니다.
  • MMF·개인투자자: 금리가 높으니 단기국채에 돈이 쏠립니다. 주식 흔들릴 땐 안전자산이 죠.
  • 미국 내 유동성: 연준의 RRP 잔액이 줄면서 숨은 유동성이 채권으로 이동 중입니다.
    (RRP는 Reverse Repo – 시장의 ‘미끼 유동성’ 같은 존재!)

이쯤 되면 트럼프가 관세를 퍼붓든, 금리를 좀처럼 못 내리든 간에 국채는 꾸준히 팔릴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 경기침체는 현실이 되고, 국채는 믿음이 된다

이제 결론입니다. 트럼프의 전방위 관세 정책은 “물가 올리기 게임”이 아니라, “세계 경제의 균형을 재조정”하려는 것 입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아니라 경기침체
국채는 여전히 든든한 안전자산
탈달러? 말은 많은데, 대체자가 없어요, 정신차리자? 응?

👉 그러니 주식 투자자 입장에서 이걸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


📌 투자전략 한 줄 요약: 채권 분할 매수, 지금이 기회일지도

“금리 더 오르겠지?” 하며 기다리다간 기회 놓칠 수도 있습니다.지금은 경기침체 피난처로서 국채 수요가 몰리는 시기,
게다가 국내 유동성도 생각보다 넉넉하니, 미국 국채 매수 타이밍이 슬슬 보입니다."트럼프가 관세를 치면, 채권은 웃는다."

어디까지나 분할 이라는점. 비중을 늘리는 정도로 보는것이 좋겠죠?


📢 마무리 한 마디

투자는 타이밍과 시나리오 판단이 중요합니다. 지금은 인플레 공포보다 침체 시나리오에 주목해야 할 때, 그리고 그 속에서 미국 국채는 여전히 당신의 포트폴리오에 쏙 들어가야 할 자산이라는 것, 잊지 마세요.

 

 

채권과 금리.. 무슨말인지 모르시겠다면?

2025.03.31 - [트레이딩 공부] - 금리란? 은행, 소비자, 주식 삼각관계

 

금리란? 은행, 소비자, 주식 삼각관계

금리란? 돈의 가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제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금리"에 대해 최대한 쉽게 설명해드려 볼게요. 요즘 뉴스만 틀면 "기준금리 인상", "금리 변동", "

heath303.com

 

반응형

'트레이딩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I 지표 완전정복  (0) 2025.04.16
4월 중순 투자자의 심리는?  (0) 2025.04.16
미중 관세 전쟁: 트럼프의 줄타기  (0) 2025.04.13
관세유예 이후, 물가는?  (0) 2025.04.12
증시관련 주요 일정  (0)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