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매매일지5

프랍트레이딩 도전기 ep.05: 대혼돈 첫 PA 계좌야 안녕?! 안녕... 지난번 처음으로 테스트계좌를 통과해서 펀딩계좌(Performance Account, PA계좌)를 운용해 보았습니다. 펀딩계좌라고 쫄지말고 하던데로 해보면 되지않을까 해서 과감하게 진행을 했습니다. 당시에는 사실 엄청 잘진행되었고 3연승 1패, 4연승 1패, 3연승 1패 를 했습니다. 엄청나게 몰입을해서 이 만큼 거래를 많이 한것도 당시에는 몰랐어요."지금.. 지금.. 지금! " 하면서 엄청난 승률을 냈죠. 이렇게 했을때 PA.. 2025. 4. 11.
프랍트레이딩 도전기 ep.04: Eval계좌 지난 에피소드에서 거래량의 중요성!지난번 이야기에서 거래량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뼈저리게 느꼈는데요. 요즘은 제 나름의 지표를 활용해서 매매 타이밍을 잡는 법을 조금씩 터득해가고 있습니다. 물론 지표는 계속 바뀌고 있어요. 하나씩 써보면서, “아 이건 이런 한계가 있구나~” 하면서 직접 체감하고 복기하는 중입니다. 자 이번엔, 3월 31일부터 4월 3일까지의 매매일지를 복기해봅니다.여기서 잠깐! Eval 계좌라는 건 뭐냐면, 쉽게 말해 “프랍트레이딩 테스트 통과하면 너도 수익 공유자!” 라는 겁니다. 회사에서 정한 룰을 깨지 않고 수익을 내면, 실제 자금으로 운용할 수 있는 PA 계좌를 줍니다. 말 그대로 시험 계좌죠. 3월 31일 매매일지 부터 간략하게 보겠습니다.2025년 3월 31일 월요일    거래.. 2025. 4. 8.
프랍트레이딩 도전기 ep.03: 거래량 지표도 중요하지만, 거래량이 핵심이다?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트들에서 RSI, MACD, 볼린저 밴드 등 다양한 보조지표들을 활용하며 나름대로의 매매 전략을 구축해 왔습니다. 친구와의 복기 시간 덕분에 많은 깨달음을 얻었고, 그 중에서도 정말 중요하지만 간과했던 "거래량"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네, 맞습니다. 오늘의 주인공은 바로 ADL(Accumulative/Distribution Line)입니다. 특히 3월 28일의 실전 매매일지를 통해 거래량이 왜 이토록 중요한지, 지표보다 우선시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깨닫게 된 하루였죠. 🚀 프랍트레이딩 도전기 Ep.03: 거래량! 이걸 놓치면 털린다 제목에서 말했다시피 가장 중요하게 보아야 할것은 바로 거래량 지표, ADL입니다. ADL 은 거.. 2025. 4. 8.
프랍트레이딩 도전기 ep.02 : 지표 프랍트레이딩 도전기 ep.02: 지표 자, 여러분! 지난 일주일 동안 말이죠. 제가 본격적으로 트레이딩 공부에 들어갔습니다. 물론 처음엔 좀 헤맸습니다. 적응기라 하죠. 근데 이젠 슬슬 감이 와요. 유튜브, 카페, 블로그에 프랍트레이딩 고수님들 정보를 기웃거리면서 대체 이분들은 어떤 지표를 쓰고, 어떤 타이밍에 진입을 하는 건지… 진짜 집요하게 파봤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삽질(?)을 반복한 끝에, 저한테 맞는 지표, 효과가 괜찮은 지표들을 걸러냈어요. 물론 지금도 계속 진행중인 이야기입니다.지금은 몇 개 안 쓰지만, 오늘은 그동안 써봤던 지표들, '왜 걸렀는지, 그리고 지표에 대한 제 생각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요런 얘기를 한번 해보려 합니다. 처음엔 욕심이 컸어요. 지표 5개씩 막 쓰고 그랬다니까요?.. 2025. 4. 5.
프랍트레이딩 도전기 ep.01 프랍트레이딩 시작. 지난 3월 21일 금요일 부터 프랍트레이딩을 시작했다. 지난번에 언급한 친구와 함께 모의계좌로 연습을 먼저 진행했다. 유튜브와 네이버 카페를 통해 정보를 취합하고 공유하면서 매우 빠르게 늘고있다는 느낌을 받으면서 지난 일주일을 보냈다. 모의계좌이지만실제로 해보면서 가상의 돈을 잃으면서 좌절하고 또 이익을 내면서 도파민이 터지는 경험을 했다.  프랍트레이딩의 장점은 이전 글을 참고 하면 좋을 듯 하다. https://heath303.com/entry/%ED%94%84%EB%9E%8D-%ED%8A%B8%EB%A0%88%EC%9D%B4%EB%94%A9-%EB%AD%90%EA%B0%80-%EC%A2%8B%EC%9D%80%EA%B1%B0%EC%95%BC 프랍 트레이딩 ? 뭐가 좋은거야 ?친구로.. 2025. 4. 5.
반응형